[영남일보][효성병원과 함께하는 생활 속 건강] 임신과 갑상선 질환
페이지 정보
작성자 효성병원 작성일14-02-26 00:00 조회3,115회관련링크
본문
효성병원과 함께하는 생활 속 건강
임신과 갑상선 질환
임신부는 특별히 갑상선 질환에 유의해야 한다. 갑상선 호르몬이 태아의 뇌 발달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임신부는 일반적인 임신의 증상과 혼동해 갑상선 기능에 문제가 생겨도 모르는 경우가 많다.
임신부에게서 관찰되는 갑상선의 생리적 변화를 살펴보면, 임신 초기에는 갑상선 결합 글로불린은 증가하고 갑상선 자극 호르몬은 감소한다. 또 태아의 요오드화물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산모의 혈장 내 요오드 수치가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임신부의 요오드 하루 섭취 권장량이 일반 성인 기준보다 높다.
일부에서는 임신 중 혈장 내 요오드화물의 감소로 갑상선의 크기가 증가하게 되지만, 분만 후에는 대부분 정상적인 크기로 돌아오게 된다.
출산 후 1년 이내 갑상선 호르몬의 균형이 깨져 발생하는 산후 갑상선염은 갑상선 질환의 과거력이 없는 여성도 6~9%에서 발생할 수 있다.
산후 갑상선염은 자가 면역 질환이므로 갑상선 기능항진증은 특별한 약물 투여 없이 스스로 좋아지는 경우가 많은 반면, 갑상선 기능저하증은 일부에서는 회복이 안 되어 평생 갑상선 호르몬 약을 투약할 수도 있다.
임신 중 갑상선에 종양이 발견된 경우, 갑상선암에 대한 검사를 해도 괜찮은지 걱정을 많이 한다. 검사 중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검사인 초음파, 미세침흡인 세포검사, 갑상선 기능 검사는 태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다. 임신 중에 갑상선암이 발생했더라도 임신을 하지 않은 다른 사람들과 비슷하게 치료할 수 있다. 또한 갑상선암으로 수술받은 경우에도 별다른 걱정 없이 임신을 할 수 있어 적절하게 주의만 기울이면 태아와 산모 모두에게 나쁜 영향을 주지 않는다.
<효성병원 외과 김미선 과장>
<출처 : 영남일보> - 2014년 2월 25일 게재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